“Connecting the dots”

java1 본문

JAVA

java1

kims1997 2023. 3. 30. 18:05
반응형

 

 

 

 

자료구조란?

자료구조는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면서 데이터를 빠르고 안정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자료구조는 특정 상황에 맞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선 느리고 불안정할 수 있죠. 따라서 상황에 맞는 자료구조를 고를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알고리즘은 특정 문제를 메모리 효율적이고 빠른 성능으로 해결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정해진 일련의 절차나 방법을 공식화한 형태로 표현한 것을 말하는데요. 즉 수학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알고리즘도 자료구조와 마찬가지로 특정 상황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적합하지 않은 상황도 존재합니다.

 

자료구조는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며 빠르고 안정적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로 상황에 따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특정 구조를 이루고 있다. 

 

 

정수형자료형

print  : 메서드

format  (형식)대로 출력

 

 

자바에서 8진수는 앞에 0을 붙인다 

자바에서 16진수는 앞에 0x을 붙인다

 

 

출력지정자릿수 <출력자릿수 : 무시 

System.out.print("

 

실수형 자료형 

실수형 자료형은 소수점 이하를 가지는 숫자를 표현할 때 사용하는 자료형으로, 자바에서는 기본적으로 float와 double 두 가지 형태를 지원합니다.

 

1 float 

float 자료형은 4바이트(32비트) 크기를 가지며, 소수점 이하 7자리까지 표현할 수 있다 

float변수를 선언할 때는 접미사 f를 붙입니다 예를 들면 float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float f = 3.14f

 

2 double 

double 자료형은 8바이트 크기를 가지며, 소수점 이하 15자리까지 표현할 수 있고 double 변수를 선언할 때는 접미사 d를 붙일 수 있지만 생략해도 됩니다 예를 들면 , double 변수를 선언하고 값을 할당하는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double d = 3.141592653589793;

 

실수형 자료형은 정수형 자료형과 달리 부동소주점 방식으로 값을 표현하므로 정확한 값의 표현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실수형 자료형을 사용할 때에는 주의가 필요하다 

반응형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tudy  (0) 2023.04.03
Java Study  (0) 2023.03.31
문자열자료형  (0) 2023.03.31
JAVA 2  (0) 2023.03.31
JAVA  (0) 2023.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