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https://subicura.com/2017/01/19/docker-guide-for-beginners-1.html
- https://siyoon210.tistory.com/130
- https://sewonzzang.tistory.com/22
- https://joshua1988.github.io/web-development/javascript/promise-for-beginners/
- https://appmaster.io/ko/blog/rest-apiran-mueosimyeo-dareun-yuhyeonggwa-eoddeohge-dareungayo
- https://jcon.tistory.com/189
- https://hi-zini.tistory.com/entry/%EB%B9%84%EB%8F%99%EA%B8%B0%EC%A0%81-%EB%B0%A9%EC%8B%9D-%EC%B2%98%EB%A6%AC-%EB%B0%A9%EB%B2%95-Callback-Promise-async-await
- https://joshua1988.github.io/web-development/javascript/js-async-await/
- https://aws.amazon.com/ko/docker/
- https://goodgid.github.io/HTTP-Communicate-Process/
- Today
- Total
“Connecting the dots”
HTTP 통신 본문
HTTP 란?
+브라우저와 서버가 통신 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프로토콜 가운데 한종류다
+웹 브라우저와 웹서버 사이에 HTML문서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통신 프로토콜
*초기에는 HTTP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목적 이나 현재는 JSON, Image 파일 등 또한 전송 할 수 있다
통신 프로토콜 이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세지를 주고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
+신호 체계,테이터 표현법,인증,오류검증 등의 기능 포함
+물리적 측면에는 매체,단자,전송신호,회선 규격
+논리적 측면에는 자료 형식단위 ,자료 전송 절차 으로 이루졌다
HTTP Protocol 의 특징
+HTTP 에서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 메시지를 보내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반환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 비연결성 프로토콜이며 , 요청(req)과 응답(res) 방식으로 동작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는 말은 서버는 응답 메세지를 반환한 후에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저장 하지 않는다
+HTTP 프로토콜은 상태가 없는 프토토콜, 무상태성 구조라고도 한다
(상태가 없다는 말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각각의 데이터 요청(req)이 서로 독립적으로 관리가 되는것이고,
데이터 요청과 다음 데이터 요청이 서로 관련이 없다는 뜻)
HTTP 통신의 요청과 응답 (Request, Response)
+요청과 응답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클라이언트(Client)와 서버(Server) 이있다
+클라이언트란 요청을 보내는 쪽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웹 관점에서는 브라우저 의미 ( 클라이언트= 브라우저 ) 클라이언트는 Req
+서버는 요청을 받는 쪽 즉 ,데이터를 보내주는 컴퓨터를 의미 (Res)
HTTP Request 의 구조
Reauest Line, Header Lines,Body 로 이루어졌다
+Reauest Line: request
1 HTTP 메서드 ( GET,POST 등) 사용해 서버가 수행할 동작 을 나타냄
2 요청 타켓 ( URL, 프로토콜,포트,도메인) 이들은 요청 컨텍스트에 의해 특정
3HTTP 버전이 들어간다,(Request Line) 응답 메시지에 사용할 HTTP 버전을 알려주는 역할
+Header
1요청에 들어가는 HTTP 헤더는 HTTP 헤더 기본 구조
2대소문자 구분 없는 문자열 다음 콜론('.')이 붙으면 뒤에 오는 값은 헤더에 따라 달라진다
3헤더를 세분화 하면 (General Header, Request Header, Entity Header ) 로 나눌 수 있다
+Body
Body는 request 의 마지막 부분에 들어간다 모든 요청에 들어가지는 않고 Get, HEAD,DELETE,OPTIONS 처럼 리소스를 가지고
오는 요청은 대부분 본문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Request Header : 요청하는 클라이언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Host,User-Agent.Cookie
Response header :서버 자체에 대한 정보,응답에 대한 부가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server,allow,Etag,Access-Control-Allow-Origin
Entity Header
콘텐츠의 길이나 MIME 타입과 같이 Entity Body 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포함하는 헤더
:content-Type, Content-Length등
HTTP Method
GET : 존재하는 자원에 대한 요청
POST: 새로운 자원을 생성
PUT : 존재하는 자원에 대한 변경 (갱신)
PATCH: 존재하는 자원에 대한 변경 (교체)
DELETE:존재하는 자원에 대한 삭제
OPTIONS: 웹 서버에 지원되는 메서드의 종류를 확인할 경우 사용
'1주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시 자료형 VS 참조자료형 (0) | 2022.11.19 |
---|---|
"Git " , "Hoisting" , "Scope" (0) | 2022.11.19 |
Template Literals ++ (0) | 2022.11.19 |
Destructuring Assignment ( 구조분해할당) ++ (0) | 2022.11.19 |
REST-API VS GraphQL-API (0) | 2022.11.19 |